부산현대미술관 MOCA
《미술관 밖 프로젝트 #1-6_열 개의 눈》 연계워크숍

#_소리 보기, 읽기, 떠올리기

2024. 7. 6(토) 14:00~16:00
 부산현대미술관 주변 일대 사운드워크
에코작은도서관/을숙도조각공원


IMG_5586.PNG
에코작은도서관_부산_지도.png


소리를전달하는방법2_지도-02.png

에코작은도서관                            을숙도 조각공원 
에코작은도서관_부산_지도.png

2024. 7. 6 

에코작은도서관 소리 기록





<  소리를 전달하는 방법 I  >



1) 문자 


츠윽  츠윽


따당 따당 따당 따당 따당


쪼르르르 -  쪼르르르 -


츄르르 쇼르르 쮸르르


아빠\아빠/아빠\아빠/


스스스스스스스


스~~~ 스~~~~ 



2) 사물


 풀 밟는 소리

준비물: 철 수세미, 박스 종이


① 철로 만든 수세미를 준비한다. 
②  박스 종이를 준비한다. 
③ 두개를 서로 맞대어 비빈다. 

-

비온 뒤 발자국 소리

준비물 : 옥수수전분 보충재, 물, 모래, 포장 종이, 행주, 접시

① 접시에 옥수수전분 보충재, 모래, 포장종이, 행주를 넣는다.
② 물을 붓는다. 
③ 손으로 조금씩 누르며 소리를 낸다. 

-

자갈 밟는 소리

준비물: 플라스틱 그릇, 나사, 볼트, 모래, 펜

① 플라스틱 볼을 준비한다. 
② 플라스틱 볼에 나사와 소금을 넣는다. 
③ 펜으로 나사와 소금을 흔든다. 

-

야외 세면대 물 나오는 소리

준비물: 얇은 비닐, 쇠 수세미

① 얇은 비닐과 쇠 수세미를 준비한다. 
② 쇠 수세미를 얇은 비닐로 감싸 비빈다. 


준비물 : 참깨, 종이컵, 플라스틱 접시

① 종이컵에 참깨를 넣는다. 
② 빈 플라스틱 접시를 준비한다. 
③ 종이컵에 담긴 참깨를 천천히 플라스틱 접시에 부으며 소리를 낸다. 

-

크록스 신발을 신고 자갈을 밟는 소리 

준비물: 종이컵, 테이프, 참깨

① 종이컵 두 개를 준비한다. 
② 한쪽 컵에 참깨 한 주먹을 넣는다. 
③ 남은 컵을 주둥이를 아래로 참깨가 담긴 컵 위에 올린다. 
④  테이프로 두 종이컵을 꽁꽁이 붙인다.
⑤ 테이프로 연결한 컵을 양쪽으로 흔든다. 


3) 신체 


새소리 

① 승모근에 힘을 주고 어깨를 위로 올린다. 
② 목을 어깨 사이에 파묻는다. 
③ 목 전체를 울린다는 생각으로 '압-빠'를 반복하여 소리내어 말한다.


4) 그림



부산현대미술관은 사회 공유지로 변모하는 동시대 미술관의 공적 역할 수행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예술가, 공공기관, 시민의 능동적 협업과 참여를 기반으로 한 《미술관 밖 프로젝트#1-6》을 실시합니다. 미술관은 그간 ‘보다’라는 행위를 통한 감상활동을 제공하여왔고 이는 의도하지 않게 시각약자를 배제하였습니다. 우리 미술관에서는 누구나 즐길 수 있는 ‘미술관 무장애 환경 만들기’를 목표로 여섯 명의 예술가와 여섯 개의 프로젝트를 실시합니다.

SEOM:이 지속해온 < Sound Marking >, < 기억을 산책하는 방법 > 활동의 연장이자 변형 프로젝트로 일상의 소리 풍경을 재구성합니다. 부산현대미술관과 부산 도심에서는 어떤 소리가 만들어지고 사라질까요? 각각의 소리 주인은 누구이고 어떤 청각적 특징을 지니고 있을까요? 시각 정보가 사라지고 소리만 남았을 때 우리는 소리를 통해 무엇을 보고, 읽고, 떠올리고, 만지고, 기억할 수 있을까요? 아티스트와 함께하는 소리 채집 활동을 통해 귀가 수행하는 여러 감각 활동에 대해 알아봅니다.

▪ 프로그램 : #_소리 보기, 읽기, 조합하기
▪ 모집대상 : 초등 3학년 이상(미성년자 참여시 보호자 참석 필수)
▪ 교육인원 : 2인 1조 구성, 회당 12명 이내 *신청자 1인당 2명까지 접수 가능
▪ 운영일시 : 2024-07-06(토) 14:00~16:00
▪ 교육장소 : 부산현대미술관 주변 일대
소리를전달하는방법2_지도-02.png

2024. 9. 29

 을숙도 조각 공원 소리 기록





<  소리를 전달하는 방법 II  >



1) 문자 


빠지직  " 빠지직 " 빠지직 "


푸스슥 푸스슥 푸스슥


 (푸를 강조하며) 푸스슥  푸스슥 


쁘스럭 쁘스럭


또그럭 퍼그럭


빠지락 빠직 또그르르 또글 또그르


( (뒤로 갈수록 더  작아지며) 귀뚜루루루루



2) 사물


귀뚜라미 소리

준비물: 플라스틱 도끼빗


① 작은 플라스틱 도끼빗을 준비한다. 
②  도끼빗의 손잡이를 잡는다.
③ 엄지손가락을 세운다.
④ 엄지손가락 끝으로 빗살을 누른다.
⑤위에서 아래로 엄지손가락을 누르며 천천히 움직인다.

① 플라스틱 빗을 준비한다. 
②  엄지손가락 끝으로 위에서 아래로 천천히 빗을 문지른다.




사탕 먹는 소리

준비물 : 스카치테이프, 플라스틱 통, 실로폰 채, 

① 스카치테이프를 문지른다.
②  플라스틱 통을 준비한다.
③ 실로폰 채로 플라스틱 통을 살짝 건드리듯이 굴려준다.
④ 통과 너무 세게 부딪히지 않도록 한다.




풀 밟는 소리

준비물: 스티로폼, 소면

① 스티로폼을 손으로 비빈다.
② 비빔과 동시에 국수면을 문지른다.




비행기 소리

준비물: 호스, 쿠킹호일

① 호스와 쿠킹호일를 준비한다.
② 쿠킹호일에 호스를 잡아 불어주면 끝.




낙엽 밟는 소리

준비물: 비닐, 모래, 그릇

① 비닐을 준비한다.
② 비닐 안에 모래를 넣어서 그릇에 넣는다.
③  ②를 손으로 만지면 낙엽 밟는 소리가 난다. 




바람 소리

준비물: 은박지

① 은박지를 준비한다.
② 은박지를 분다.
③ 숨소리가 난다.



낙엽 밟는 소리

준비물: 은박 접시, 참깨, 옥수수 완충재

① 은박접시에 참깨 한 웅큼을 쥐고 떨어뜨린다. 
② 은박지를 구겨서 펴고 옥수수 완충재를 가볍게 부딪쳐서 소리를 낸다. 


3) 신체 


사탕먹는 소리

① 몸을 웅크린다.
② 자유롭게 구른다.

① 한 손의 손톱을 잘 보이도록 주먹을 쥔다.
② 한 손으로 다른 손의 손톱 위를 간지럼 태우듯이 두드린다.



풀 밟는 소리

① 귀에 손을 붙인다.
② 위아래로 문지른다.





4) 그림